저작권 상태
저자: 이금이
출판사: 문학동네
출판연도: 2010년
(저작권 보호 여부: 저작권 보호 중 (저작자 사후 70년까지 보호)
『소년들의 도시』는 이금이 작가가 청소년의 성장과 갈등, 관계 속 치유를 그려낸 감성 소설입니다. 전학 온 소년 지훈이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또래들과 만나며 서로를 이해하고 성장해가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삶의 무게를 짊어진 아이들이 만들어가는 ‘도시’는 공감과 연대의 공간으로 재해석됩니다.
작품 개요: 『소년들의 도시』
- 작가: 이금이
- 출판사: 문학동네
- 출간년도: 2010년
- 장르: 청소년 성장 소설
- 수록 정보: 일부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및 자유학기제 독서자료, 수행평가 읽기 자료로 활용
🖋️ 작가 소개: 이금이
- 출생: 1962년, 서울
- 활동 분야: 아동문학, 청소년문학
- 데뷔작: 『거기, 내가 가면 안 돼요?』 (1994)
- 대표작: 『너도 하늘말나리야』, 『유진과 유진』, 『소희의 방』, 『소년들의 도시』 등
- 문학 특징: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과 현실 문제를 진지하게 탐구
감정선이 섬세한 심리 묘사와 따뜻한 시선이 특징
청소년 독자들이 현실에서 부딪히는 문제에 공감할 수 있도록 풀어냄
📖 줄거리 요약
서울 변두리의 조그만 도시 '한우리시'를 배경으로, 부모의 이혼으로 삶의 터전을 잃고 이사 온 지훈이라는 중학생 소년이 도시의 새로운 환경과 친구들 속에서 자신만의 자리를 찾아가는 이야기입니다.
처음 전학 온 학교에서 지훈은 낯설고 소외감을 느끼지만, 자신처럼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찬영, 수미, 태수 등 친구들과 관계를 쌓으며 점차 마음을 열어갑니다. 그들은 각자의 문제(가정폭력, 가난, 가족 해체 등)를 안고 있지만, 함께 어울리고 갈등하며 성장합니다.
이야기 후반에는 지훈이 자신과 다른 친구들을 이해하게 되고, '소년들의 도시'는 단지 지형적 공간이 아닌 서로를 알아가고 소통하는 과정임을 깨닫게 됩니다.
내용 분석
📌 주요 인물
인물 | 특성 및 상징 |
지훈 | 전학 온 중학생, 부모의 이혼으로 내면에 상처 있음 |
찬영 | 아버지의 가정폭력으로 힘든 환경에 처한 친구 |
수미 | 책임감 강하고 조숙한 성격, 가정의 생계를 일부 책임짐 |
태수 | 겉은 거칠지만 속은 여린, 친구들을 감싸주는 역할 |
📌 핵심 주제 및 메시지
- 청소년기의 자아 정체성과 상처 극복
- 다양한 가정 문제와 사회적 배경을 가진 또래들과의 연대
- 서로 다른 환경 속 소년들이 만들어가는 이해와 공감
- '도시'는 물리적 공간이 아닌 정서적 성장과 관계의 은유
✍️ 표현상의 특징
- 1인칭 시점: 지훈의 시선을 따라가며 독자가 주인공의 감정에 몰입할 수 있게 함
- 현실적인 대사와 묘사: 실제 청소년들의 언어와 생활환경을 생생하게 구현
- 은유적 제목 사용: ‘소년들의 도시’는 상처받은 청소년들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관계의 공동체를 상징
💭 감상 및 해석
『소년들의 도시』는 청소년기의 외로움, 상처, 성장의 과정을 따뜻하고 현실감 있게 그려낸 소설입니다. 작가는 단순히 위로만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자기 목소리로 세상과 관계 맺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등장인물들은 모두 각자의 짐을 짊어지고 있지만, 그 짐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친구들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세상은 견딜 만한 곳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 소설을 읽으며 우리는 관계 속에서 치유받는 성장의 가능성, 청소년기의 복합적인 감정들, 그리고 진정한 연대의 가치를 새삼 돌아보게 됩니다.
활용 포인트 (독서록·수행평가 대비)
항목 | 주요 내용 |
주제 문장 예시 | “서로 다른 아픔을 지닌 소년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공감의 공동체” |
인상 깊은 장면 | 지훈이 처음으로 친구에게 자신의 상처를 솔직하게 털어놓는 장면 |
비교 감상 | 『괭이부리말 아이들』과의 비교: 사회적 약자의 삶과 공동체 |
확장 활동 | 내 삶 속 '소년들의 도시'는 어디였는지에 대한 자전적 글쓰기 |
'문학작품 > 현대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리 방구 조수택 』(유은실) - 내용분석, 감상 및 해석 (0) | 2025.05.23 |
---|---|
『하늘은 맑건만』(현덕) - 내용 분석, 감상 및 해석 (0) | 2025.05.22 |
현대소설 『자전거 도둑』 박완서 - 줄거리, 감상 및 해석 (0) | 2025.05.21 |
현대소설 『동백꽃』 김유정 - 내용분석 (0) | 2025.05.20 |
현대소설 『고무신』 오영수 - 내용분석, 감상 및 해석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