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LIST
728x90
SMALL
'가족' 태그의 글 목록 (2 Page) :: 소설리뷰 & 교육정보
728x90
반응형
SMALL

  • 제목 : 알바생이 하프엘프를 키우는 법
  • 저자 : 하인즈맨
  • 출판 : 현나라

졸지에 하프엘프 아기를 키우게 되었다

 

 

이한성은 성인이 되자마자 집을 나와서 독립을 했습니다. 한성의 어머니는 한성을 낳고 떠났고 아버지는 알코올 중독으로 제대로 한성을 양육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집을 나와서 알바를 하면서 생활을 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한성의 눈앞에 [당신은 육아 보조 시스템에게 선택 받으셨습니다. 보호자가 되기를 수락하시겠습니까?]  정상적인 가정에서 성장하지 못한 한성은 No를 선택하지만 [감사합니다. 보호자가 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 한성이 누군 버튼이 No에서 Yes로 바뀌어 있었습니다.

 

한성의 눈앞에 나뭇가지로 조잡하게 엮은 듯한 바구니 하나. 그리고 그 속에 들어가 있는 담요와 세상 편하게 곤히 자고 있는 한 아이를 보게 됩니다. 한성은 보육원에 전화를 해서 누가 집앞에 아이를 놓고 갔다고 이야기 하고 방문을 예약합니다. 그리고 한성은 자신이 알바하는 편의점에서 근무하는 화연이라는 대학생을 만나게 됩니다. 화연은 외모는 외국인이지만 한국사람이였습니다.

 

한성은 육아보조시스템에 의해서 여러가지 스킬을 사용할 수 있게되고 아기를 키우게 됩니다. 한성은 아기가 갑자기 열이나서 병원으로 아기를 안고 달려가게 됩니다. 그리고 아기는 하프엘프로 마력문제로 대부분 하프엘프들은 1년을 넘기지 못하고 목숨을 잃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한성은 육아보조시스템의 상점에서 세계수의 이슬을 구매해 아기에게 먹입니다. 그리고 세계수의 이슬의 효력으로 HP/MP가 1000가 증가하고 열이 내리게 됩니다. 한성은 아기가 열이 내리고 퇴원해 집으로 데리고 갑니다. 그리고 보육원에서 입소 관련해 연락이 오게 되는데 한성은 아기를 직접 키우기로 결정했다고 이야기 합니다. 

 

알바생이던 한성은 육아보조 시스템에서 지급해주는 포인트로 생각보다 많은 돈을 벌 수 있었고 수정이라고 이름을 지은 하프엘프 아기와 살게되는 내용의 현판소설입니다. 생각보다 사건들이 많이 생기는 소설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제목 : 보스 씹어 먹는 플레이어

저지 : 재시작

출판 : STORYYA

 

 


 

회사 때려치고 F급 헌터가 된 최한성.그런데 첫날부터 히든 보스를 만나고, 죽을 위기를 맞게 된다.‘내게 힘이 있었다면! 보스 몬스터 따위 다 씹어 먹었을 텐데!’그때 기적이 찾아왔다.‘SSS급 이능력 [보스 디바우러]’보스를 잡아먹고, 그 힘을 뺏는 능력 '보스 디바우러'.압도적인 능력을 바탕으로 한 최한성의 불패 신화가 펼쳐진다!

 

 

주인공은 비정규직 회사원이였습니다. 부서장과 트러블로 회사를 때려치고 헌터를 합니다. 그리고 던전에서 각성을 합니다. SSS급 이능력 보스 디바우러를 각성했었습니다. 제목 그대로 보스를 씹어 먹는 능력입니다. 주인공의 영혼이 보스를 잡아 먹는 힘입니다. 

​몬스터를 잡으면 코인과 현금을 얻을 수 있고 코인으로는 능력치를 올릴 수 있습니다. 주인공은 c급인 각성자 친구와 둘이서 던전을 클리어하고 보스를 잡아 먹으며 힘을 키워갑니다. 주인공은 고3인 여동생과 몸이 아픈 어머니를 모시 위해 동생의 학비와 어머니 병원비가 절실 했습니다. 헌터를 하면서 경제적인 부분을 나아졌지만 어머니를 깨우기 위해 노력합니다. 

​주인공의 어머니는 주인공이 고3일때 주인공의 기분을 풀어주기 위해 놀이공원을 갔다가 던전브레이크로 리치가 튀어나와 재물로 사람을 끌고 가려고 마법을 씁니다. 주인공은 여동생은 구했지만 자신은 마법 범위 안에 있었고 어머니는 몸으로 주인공을 대신해 마법을 막고 잠에 빠져 들었습니다. 

​주인공은 어머니에 대한 죄책감으로 헌터가 되고 강해지면서 어머니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합니다. 먼치킨 헌터물 소설이고 재밌게 볼 수 있는 소설이라 생각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