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놈과 떡장수」(이금이)는 동화집 『금단 현상』에 수록된 단편입니다.
ⓒ 이금이, 「촌놈과 떡장수」, 푸른책들, 2015. All rights reserved.
「촌놈과 떡장수」(이금이)는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교학사 등)에 수록된 작품입니다. 여러 교과서 및 참고서, 독서 보조 자료에서 모두 중1 국어 교과서에 실려 있습니다.
작품 소개
「촌놈과 떡장수」는 이금이 작가의 단편 성장소설로, 도시로 전학 온 시골 출신 소년이 새로운 환경에서 겪는 소외, 우정, 성장의 과정을 섬세하게 그린 작품이다. 이 소설은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도 실릴 만큼 청소년 문학에서 의미 있는 위치를 차지한다. 작품은 사춘기 소년들의 심리와 인간관계의 미묘한 변화를 현실적으로 묘사하며, 진정한 우정과 자기 성찰의 가치를 일깨운다.
작가 소개
이금이(1962~)는 충북 청원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으며, 1984년 「영구랑 흑구랑」으로 새벗문학상에 당선되며 등단했다. 이후 『너도 하늘말나리야』, 『밤티 마을』 3부작, 『유진과 유진』 등 한국 아동·청소년 문학의 대표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이금이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현실적 고민과 성장통을 진솔하게 그려내며, 국내외에서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2024년에는 한국 최초로 국제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상 글 작가 부문 최종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줄거리
주인공 문기는 시골에서 도시로 전학 온 뒤, '촌놈'이라는 별명으로 놀림을 받는다. 학교에서 소외감을 느끼던 문기는 우연히 피시방에서 만난 '떡장수' 광식이와 친해진다. 문기는 광식이와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하지만, 광식이는 쉽게 마음을 열지 않는다. 문기는 자신도 모르게 거짓말을 하고, 나쁜 행동에 휘말리며 점점 더 외톨이가 되어간다. 그러던 중 문기는 결정적인 위기를 맞지만, 삼촌의 도움으로 위기를 벗어난다. 이 과정을 통해 문기는 진정한 우정과 자기 반성, 용서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
내용 분석
주제: 소외와 우정, 성장, 자기 성찰
갈등: 시골 출신이라는 이유로 겪는 차별과 소외, 친구와의 오해와 갈등, 자신의 잘못에 대한 죄책감
상징: '촌놈'은 사회적 약자, '떡장수'는 도시 생활의 현실과 적응을 상징
구성: 도입(전학·소외) → 전개(우정 시도·실패) → 위기(거짓말·잘못) → 절정(위기 상황) → 결말(성찰과 성장)
문체: 현실적이고 섬세한 심리 묘사, 대화 중심의 전개로 청소년의 언어와 감정을 잘 드러냄
등장인물
문기: 시골에서 전학 온 소년, 소외와 외로움을 겪으며 성장한다.
광식(떡장수): 도시 소년, 처음에는 문기를 멀리하지만 점차 마음을 연다.
삼촌: 문기의 위기 상황에서 도움을 주는 보호자 역할.
감상 및 해석
「촌놈과 떡장수」는 겉으로는 단순한 청소년 우정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인간관계에서의 주종 구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성장하는 용기 등 다양한 메시지가 담겨 있다. 특히 문기가 겪는 심리적 갈등과 변화는 독자에게 깊은 공감과 반성을 불러일으킨다. 작품은 "아이들 세계도 어른 못지않게 치열하고 복잡하다"는 점을 보여주며, 진정한 우정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이해하는 데서 시작된다는 교훈을 전한다.
'문학작품 > 현대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기』 황순원 - 내용, 감상 및 해석 (0) | 2025.05.26 |
---|---|
『보리 방구 조수택 』(유은실) - 내용분석, 감상 및 해석 (0) | 2025.05.23 |
『하늘은 맑건만』(현덕) - 내용 분석, 감상 및 해석 (0) | 2025.05.22 |
현대소설 『자전거 도둑』 박완서 - 줄거리, 감상 및 해석 (0) | 2025.05.21 |
현대소설 『동백꽃』 김유정 - 내용분석 (0) | 2025.05.20 |